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CL
- 파이썬 개발 환경 설정
- 서버
- 로드밸런싱
- 정책설정
- SSL
- GCP
- 컨테이너
- 멀티리전
- route53
- iam
- gcp 아키텍처
- 볼륨
- 네트워크
- 방화벽
- aws localzone
- VPC
- 도커
- vpn
- python 개발환경 설정
- nat
- gcp기본구조
- 운영
- AWS
- 데이터베이스
- WAF
- EC2
- SD-WAN
- 보안그룹
- aws 백본망 구성방식
Archives
- Today
- Total
혜잉이의 소소한 공간
[AWS#11] NAT 인스턴스 본문
프라이빗 서브넷이 인터넷을 통해서 나가려면 원래는 NAT 게이트웨이가 필요.
NAT 게이트웨이 없이 인터넷 통신 가능
퍼블릭 서브넷에 EC2 인스턴스 생성 (프리티어) - 요금 발생 X
리눅스 운영체제로 생성하여 NAT 설정하면 NAT 기능 수행
[root@MyWeb2 ~]# curl http://checkip.amazonaws.com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아마존의 공인 IP를 알려주는 명령어
# 인스턴스 생성
- 커뮤니티 AMI 선택
사설 IP를 이렇게 고정으로 사용 가능.
주소 변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부분.
EOF 부터 = MASQUERADE
생성과 동시에 EC2인스턴스가 NAT 로 동작
NAT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나면 [작업]-[네트워킹]-[소스/대상 확인 변경]
중지 체크하고 저장을 누르면 해당 인스턴스가 라우터 처럼 동작
# 탄력적 IP 생성
해당 공인 IP를 NAT인스턴스에 연결됨.
# 프라이빗 라우팅테이블 <> NAT EC2 연결
[VPC]-[라우팅테이블]-[작업]-[라우팅편집]
# 테스트
위와 같이 공인 IP를 반환함.
Ping 도 가능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13] VPC 피어링 (0) | 2025.02.04 |
---|---|
[AWS#12] 로드 밸런싱 (0) | 2025.02.04 |
[AWS#10] VPC 엔드포인트 (0) | 2025.02.02 |
[AWS#9] Terraform (0) | 2025.02.01 |
[AWS#8] CloudFormation - ALB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