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C2
- 방화벽
- 운영
- 네트워크
- route53
- vpn
- aws localzone
- 볼륨
- 공공 클라우드 시장
- 멀티리전
- SSL
- 데이터베이스
- iam
- AWS
- 정책설정
- 컨테이너
- nat
- 파이썬 개발 환경 설정
- VPC
- 보안그룹
- aws 백본망 구성방식
- 서버
- WAF
- gcp기본구조
- SD-WAN
- ACL
- GCP
- 도커
- 로드밸런싱
- gcp 아키텍처
- Today
- Total
혜잉이의 소소한 공간
[모니터랩] SSL/TLS 설정 본문
보호 대상 웹서버 -> 특정 도메인에 대한 설정
부가 설정 -> SSL 인증서에 적용되는 공통 설정 (해당 인증서 도메인에 대한 SSL/TLS 기본 정책)
SSLv3는 SNI(Server Name Indication)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즉, 클라이언트가 최초 SSL/TLS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때 특정 도메인을 지정할 수 없고 서버(WAF)는 개별 도메인 설정을 고려하지 못한 채 기본 값(부가설정) 설정대로 응답하게 됩니다.
* 부가 설정 변경 전
* 부가 설정 변경 후
부가 설정에서 미허용 SSL 버전을 협상 거부로 변경해야 SSLV3 가 정상적으로 차단됩니다.
1. SSLv3란?
SSLv3(Secure Sockets Layer 3.0)는 현재는 보안 취약점(CVE-2014-3566, POODLE Attack)으로 인해 더 이상 안전하지 않습니다.
✅ POODLE 공격(Padding Oracle On Downgraded Legacy Encryption): SSLv3를 악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의 내용을 추출 가능
✅ 암호화 방식 취약: 최신 TLS(1.2/1.3)에 비해 보안성이 낮고,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 미지원
✅ MITM(중간자 공격) 위험: 공격자가 SSLv3로 다운그레이드(Protocol Downgrade)를 유도하여 보안성을 약화시킬 가능성
SSLv3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보안상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2. SNI (Server Name Indication)란?
SNI(Server Name Indication)는 클라이언트가 핸드셰이크 초기에 "어떤 도메인에 접속하려는지"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확장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IP 주소에서 여러 개의 도메인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하지만 중요한 점은, SNI 정보가 없는 클라이언트는 도메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WAF의 전역 SSL 설정을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즉, SSL/TLS 협상 초기에는 개별 도메인 설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부가설정에서 SSLv3를 비활성화해야만 모든 클라이언트가 영향을 받습니다.
'Security > 웹 방화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Native WAF] 비정상 요청/응답 Rule Set (0) | 2025.02.17 |
---|---|
WAF 동작 방식 차이점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