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잉이의 소소한 공간

네트워크 운영에서 본 문제와 해답 본문

ETC

네트워크 운영에서 본 문제와 해답

kimhyeing 2025. 6. 4. 01:35

 

(개인적으로 네트워크 운영을 하면서 느꼈던 나의 관점에서 적은 글)

 

 

 

💡 1. 네트워크 운영에서 본 문제와 해답

 

✅ 운영 중 본 문제

트래픽 유동성에 대한 대응 한계 

  • 특정 시즌이나 이벤트 시기에는 트래픽이 평소보다 급증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때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빠른 확장이 어렵고 자원 낭비 또는 부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예비 자원을 과도하게 확보하자니 비용이 비효율적이고 적게 확보하면 성능 문제가 발생 = 그래서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환경을 현재는 선호하고 있다라고 생각 

 

 


 

💡 내가 제시하고 싶은 해답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의 하이브리드 구조 도입

  • 이런 경험을 통해 트래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려면 클라우드 환경이 효과적이라는 걸 체감했고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하이브리드 인프라를 도입하는 흐름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저는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구간은 온프레미스로 두고 확장이 필요한 구간은 클라우드로 넘기는 스마트한 네트워크 설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 실제 하이브리드 환경을 쓰는 대표 사례

 

✅ 1. 금융권 (은행, 보험, 증권사)

  • 사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금융, NH농협 등
  • 이유:
    • 고객정보, 거래 시스템은 온프레미스에 둬서 보안·감사 요건 충족
    • 마케팅, 챗봇, 로그 분석 등은 클라우드에서 운영하여 확장성과 AI 기능 활용

 

✅ 2. 공공기관

  • 사례: 정부통합전산센터(지자체 클라우드센터), 한국도로공사, 조달청 등
  • 이유:
    • 국가 중요정보는 온프레미스(행정망)에 유지
    • 비정형 데이터 처리나 외부 API 연동 등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분산 처리

 

✅ 3. 대기업 제조사

  • 사례: 삼성전자, LG CNS, 현대오토에버 등
  • 이유:
    • 스마트팩토리 및 IoT 연계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
    • 설비 제어 및 중요 생산 정보는 온프레미스로 관리

 

✅ 4. IT 서비스 기업 / SI 기업

  • 사례: SK C&C, Naver Cloud, KT, LG CNS
  • 이유:
    • 고객사의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자사 클라우드 환경을 연계해서 하이브리드 구조 제안 및 운영
    • 예: 프라이빗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 혼합 제안 (예: Azure Stack, AWS Outposts)

 

✅ 5. 온라인 서비스 기업

  • 사례: 넥슨, 쿠팡, 배달의민족 등
  • 이유:
    • 대규모 트래픽이 몰릴 경우를 대비해 클라우드로 탄력적 확장
    • 결제/로그인/회원정보 등 중요 시스템은 온프레미스 혹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유지

 


 

 

즉 정리하자면 보안성과 통제가 중요한 서비스는 온프레미스에 두고 확장성과 유연성이 필요한 서비스는 클라우드로 분산하는 하이브리드 환경이 최근 금융·공공·대기업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구축이란 ?  (1) 2025.05.31
[산업군 분석] 통신 장비, 반도체 장비, 전기차 부품 등  (0) 2025.05.19